1. 환경
- 하나의 IP에 Gateway역할을 하는 PC가 물려져 있고, 이 PC가 웹서버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 PC가 Gateway역할을 하는데, 이는 Windows 2003에 있는 "IP공유" 기능
을 이용합니다.
- 여러 PC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 Gateway PC에서 나온
선을 IP공유기(H/W)에 물렸고, 이 IP공유기에 여러대의 PC가 물려져
있습니다.
2. 원하는것
- 웹서버로 동작하고 있는 Gateway에서 IP공유기(H/W)에 물려져 있는
사설 네트웍(?)안에 있는 DB 서버(Oracle, MS-SQL, My-SQL등등)역할
을 하는 PC에 쿼리를 던지고 그 결과값을 가져오고 싶습니다.
3. 생각해본 해결책들...
- 3-1. IP공유기(H/W)에서 제공하는 Port포워딩을 사용한다.
하지만, 디비서버가 사용하는 포트가 어디 한둘이어야지...
- 3-2. Gateway PC에 Lan card를 하나 더 꽂고 거기에 DB서버 pc를 바로
연결한다.
하지만, 한 PC에 Lan card 세개가 꽂히나???
4. 그외의 해결책들...
- 네트웍 도사가 아니라서 잘... ㅠ.ㅠa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게 좋을지, 혹은 여러분들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좋은 방법을 좀 갈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현재 상황은 Gateway 기능을 하는 PC가 작동 중지 되면 나머지 PC 들도 인터넷에 접근할 수 없는 구조군요. IP 하나로 웹서버도 운영하고 IP 공유까지 하자니 그렇게 되었겠지요. 그리고 IP 공유기가 라우터 역할까지 하는 게 보통이므로 웹서버 PC와 나머지 PC들은 네트웍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들을 하나의 네트웍으로 묶어주면 모두 서로간에 사설 IP로 통신할 수 있을 듯합니다.
방법1. IP 공유기 대신 허브 기능만 있는 허브를 달면 쉽게 해결되는 것 아닐까요?
허브로 교체한 다음 그냥 사설 IP로 접근하면 될 것 같은데요.
방법2. Gateway 기능을 없애고 케이블/ADSL 모뎀과 IP 공유기를 직접 연결한 다음 기존 게이트웨이 PC 등 모든 PC를 공유기의 포트에 연결한 다음 웹서버 PC에 대해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유기를 설정해줌(웹서버는 사용하는 포트 수가 간단하겠죠, 그런데 이게 가능한지 모르겠군요). 그런 다음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PC 들은 같은 서브넷 이므로 사설 IP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함.
마지막으로, 이런 내용은 아마도 네이버 지식 iN 등에 물어보면 금방 답이 올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