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0757] 미군강점 7월23일~29일 주요일지
한국민권연구소 [] 1288 읽음    2005-07-22 10:37
주한미군 강점관련
7월23일~29일 주요일지

한국민권연구소 제출

  <주한미군 강점관련 주요일지>는 미군강점 60년 동안 일어났던 역사적인 사건들을 정리한 일지입니다.
지난 60년간 주한미군을 통해 미국이 한국을 강제점령하고 예속해왔다는 것을 증명하는 역사적인 사건들을 일지에 담았습니다. 이를 통해 주한미군 철수의 정당성, 당위성, 절박성을 알리고자 합니다. 더불어 미국의 한반도 예속화정책을 반영하는 사건들을 살펴보고 이에 반대하여 한국민중이 전개했던 반미자주화투쟁을 기록하여 반미자주화운동의 정당성도 함께 알리고자 합니다.
  이 일지는 한 달을 주기로 <정세동향>에 실리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 인터넷을 통해서도 공개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공개자료에 한해서 중요한 사건들에 대한 해설도 첨부됩니다.
주한미군 철수원년, 자주통일 원년을 만들기 위해 열심히 투쟁하고 계시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료에 오류가 발견되거나 수정, 보완 및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연구소 대표 이메일 minkwonyun@hanmail.net로 편지를 주시기 바랍니다.


1905년(이른바 ‘을사보호조약’ 강제체결) 
7월 29일   가쓰라-테프트 밀약(설명①)

1953년(휴전)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 협정조인(설명②)

**설명
① 가쓰라-테프트 밀약(비밀협정)체결
1905년 7월 29일, 일본을 방문한 미국 육군장관 테프트와 일본수상 가쓰라 사이에서 비밀협정이 맺어졌다.
일본이 미국의 필리핀 지배와 조선에서의 ‘경제적 이권’을 인정하고 미국이 일본의 조선강점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가쓰라-테프트 비밀협정이 그것이다.
가쓰라-테프트 비밀협정은 미국이 일본의 조선강점을 합법적으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미국의 실체를 직시할 수 있게 해준다. 사실 가쓰라-테프트 비밀협정을 맺은 미국의 본심은 일본을 이용하려는 것이었다.

이미 미국은 19세기부터 조선에 대한 무력침공을 감행하여 조선을 점령하려고 한 바 있다.
1차 무력침공 <제너럴셔먼호>사건(1886년 8월), 2차 무력침공 <셰난도어호>사건(1868년 4월), 3차 무력침공 <신미양요>사건(1871년 5월)이 그것이다.
대륙과 잇닿은 반도국가인 조선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감지한 미국은 이 조선을 대륙침략의 교두보이자 전초기지로 활용하고자 3차에 걸친 조선침략을 감행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력도발이 조선민중의 항거로 수포로 돌아가자 일본이 조선을 강점하게 하고 그 일본을 타고 앉아 조선의 경제와 문화를 잠식하고 정치적으로는 일본을 배후조종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것이 가쓰라-테프트 비밀협정을 체결한 미국의 본심이다.

가쓰라-테프트 비밀협정이 체결되던 해인 1905년 11월 이른바 ‘을사보호조약’을 통해 일본은 조선을 강점하게 되는데 여기서 미국이 보여준 태도 또한 놀랍다.
당시 조선정부의 외교고문이었던 ‘스티븐스’는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하는데서 일본정부를 적극 지원하였다. 조약이 강제로 체결되고 조선의 외교권이 박탈되자 미국은 ‘을사보호조약’체결을 즉각 인정하였고 조약 체결 5일 만에 조선주재 미국공사관을 폐쇄하였으며 일본주재 미국 공사관에서 조선관련 외교업무를 관장할 것을 통보하는 등 ‘을사조약’의 이행을 위한 외교적 조치들을 순식간에 추진했다.

참고자료: 한국민권연구소 격주간 <정세동향> 97호 / 도서 <침략의 역사 항전의 역사>, 김희일, 기획출판 한

② 한국전쟁 휴전협정 조인
1953년 7월 27일, 이북과 미국은 ‘적대행위 중지, 양군의 접촉선으로 하는 군사분계선의 설정, 비무장지대 설치, 휴전 이후의 병력증강 방지, 외국군 철수와 통일방안 모색을 위한 참전 관계국 간의 정치회의 개최’를 골자로 하는 휴전협정을 맺었다.

이중 특히 눈여겨 볼 부분은 ‘외국군의 철수와 통일방안의 모색을 위한 참전 관계국 간의 정치회의 개최’이다. 외국군의 철수는 우리 민족의 자주권을 되찾는 문제이고 정치협상은 우리나라의 통일독립문제를 실천적으로 협의해 나갈 수 있는 계기였다. 한국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도 한반도에 주둔한 외국군대의 철수와 통일방안 모색이라는 민족사적 과제가 휴전협정에 담겼다는 것은 우리민족의 요구가 그만큼 높았다는 것임과 동시에 그 만큼 그 요구가 공명정대하고 세계적으로도 지지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외국군 철수와 통일방안 협의를 위한 정치협상회의’는 미국과 이승만 정권 때문에 무산되고 말았다. 1954년 4월 26일 소집된 회의에서 미국과 이승만 정권은 한반도 주둔 외국군인 중국군의 철수는 요구하면서도 유엔군의 철수는 차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남북간의 통일은 유엔의 감시 하에서 인구비례 총선거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북은 이에 대해 한반도에 주둔한 모든 외국군은 6개월 안에 철수할 것을 주장했고 미국과 이승만정권의 인구비례선거를 반대했으며 유엔의 감시가 아닌 중립국 감시를 주장했다.

양자의 주장을 따져보면 결국 회의 무산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한반도 주둔 외국군의 철수는 일정 기간 안에 동시 철수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그렇게 되었을 때라야 휴전이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중국군대만 철수하고 유엔군대가 남아있는다면 이는 휴전이라고 볼 수 없다. 또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르는 위험을 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

선거감시문제도 따져 보자. 미국과 이승만 정권은 마치 유엔이 공평하고 중립적 가치 위에 존재하는 기구인 냥 유엔을 통한 선거감시를 주장했다. 그러나 유엔은 분명히 한국전쟁 교전당사자 중 하나이다. 어떻게 교전 당사자가 남북간의 통일선거를 감시 할 수 있는가? 선거감시는 한국전쟁과 무관한 중립국의 감시 하에서 해야 옳다.
마지막으로 인구비례선거를 따져보자. 당시 전체 우리민족의 2/3가 이남에 위치해 있는 조건에서 인구비례선거는 이승만정권의 정치적 의도가 관철되는 선거로 될 확률이 대단히 크다 이미 가능성부터 일방에게 기울어진 선거는 평등한 선거라 할 수 없고 흡수통일 선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통일은 또다시 한반도를 전쟁으로 몰아 갈 가능성이 크다.
결국 미국과 이승만 정권은 이북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내 걸어 제네바 정치협상회의를 파탄 낸 것이다

참고자료: 한국민권연구소 격주간 <정세동향> 103호 / 도서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1권>, 박세길, 돌베개
상록수.네오 [neocon3]   2005-07-22 17:25 X
위 글은 일부 사실에 근거를 두고 그와 유사하거나 관련이 있는 모든 상황을 한가지 방향으로 몰아가기 위한 언어적 유희의 산물입니다. 대체로 대민 선전용 또는 우민화 정책의 기조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몇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미군강점 60년.
미국이 한국에 주한미군을 주둔시키고, 그 대가로 많은 이득을 취해오고 있는것은 사실이라 할지언정 강점이라는 표현은 적절 하지 못합니다(강점의 사전적의미는 별도로 다루지 않겠습니다). 또한, 60년이라는 긴 세월을 지칭하고 있으나, 일본 강점 직전과 사변 직후의 두가지 사건의 연혁에서 60년의 근거는 전혀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둘째. 가쓰라-테프트 밀약
그 시기 미국이 제국주의 정책을 지향하였고, 모든 강대국 들의 트랜드로써 자리잡았던 시대적 배경의 설명과 함께 논의되어야 합니다.

셋째, 휴전협정 - 외국군 철군
이승만정부와 미국이 유엔군 즉각 철수에 반대한 이유는 사변 발발 배경과 관계가 있습니다. 1945년 연합군이 태평양 전쟁을 승리로 이끈 이후, 북조선은 소련으로부터 무기지원을 받고, 재중국(중공) 한민족 군인들을 북한군에 편입시켜 군사력을 증각시켰습니다. 그러나, 남한은 1949년  6월 주한미군이 철수하고, 이승만정부가 요구한 무기지원에 대해 주일미군이라는 대안을 제시한채 묵살했습니다. 그 결과, 6.25 발발직후 한국은 패망직전에 처하는 위기를 겪었습니다.
이런 과거를 겪은 이승만정부와 미국으로서는 1949년의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이유로 유엔군 철수 유보를 결정한 것입니다.
이후 1970년 닉슨 독트린에 의해 미국은 다시 주한미군 철수를 준비하였으나, 한국정부 및 국회(야당 포함)의 한국군의 현대화 이후 철수 요청 등으로 인해 무마되었습니다.

넷째, 휴전협정 - 인구비례선거
윗 글에서는 인구비례선거에 대해 반대했다는 이외의 설명이 없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저도 전혀모릅니다.

다섯째, 휴전협정 - 휴전협정 체결의 걸림돌
휴전협정체결의 가장 큰 걸림돌인 동시에 가장 오랫동안 쟁점이 되었던 사항은 앞서 언급한 조건들이 아니고, 포로 송환 안건이었습니다. 1952년5월7일 포로송환을 제외한 모든 안건이 타결되었으나, 포로송환협정이 1953년6월까지 일년여에 걸쳐 진행되었고, 53년6월8일 협정이 타결되었습니다. 이것으로 마무리된것도 아니고, 또다시 이승만대통령의 반공포로 26000여명의 석방으로 일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이상의 정황을 토대로 볼때 미군강점60년이라는 제하의 글로써 많이 부족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지식이 짧고, 글질이 서툴러 중구난방인것 같습니다.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상록수.네오 [neocon3]   2005-07-22 17:30 X
한때, 딴지 독투에서 댓글질좀 했었는데 바쁘다는 이유로 그나마도 소홀했더니

간만의 글질인데 역시 딸리는군요.... ^^;;

존내개초보 [djdu1018]   2005-07-22 20:09 X
전혀 안딸려보입니다. ;;
강준구 [zingum]   2005-07-24 17:21 X
다들 젊으신 분들 같으신데 예상외로 미군철수에 대한시각이  보수적이군요..
그 동안 군사정부에 의해 편향된 시각을 탈피해서 새롭게 볼 수 있는 자료고.
인용자료도 현대사를 연구한 책에서 나온글인데.. 이런 글을 선동성 글 이라하니 의외네요..   현재 전시작전권이 미국에 있는 것은 아시는지요...
군 작전권은 그 나라의 고유권한 입니다. 그 권한이 6.25 전쟁 발발로 이승만이 미군에게
넘겨줬고 전쟁 종료후 다시 반환 받았다가  군사쿠데타 후 다시 넘겨주게 됩니다. 그 이후 쭉 계속 작전권이 미군에게 있었죠. 이 작전권은 대통령도 군사이동을 하려고 해도 미군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권한입니다. 또, 미군에게는 한반도 전쟁을 임의로 도 발 할 수 있는 그런 작전계획도 있습니다. 작계50xx 이런게 있는데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전쟁을 일으킬 수 있고 그 순간 군사이동에 대한 작전권은 미군에 넘어갑니다. 과연 우리가 주권국가인가요?  과거 우리 군사쿠데타 정부를 미국이 지지했던 이유는 그들의 이익에 부합했기 때문입니다. 사전에 미국의 암묵적 동의 없이 과연 쿠데타가 성공 할 수 있었겠는가? 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계엄령 시기에 군사이동에 권한은 미국의 동의 없이 불가능 하고  군사 쿠데타는 미군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0757 미군강점 7월23일~29일 주요일지 한국민권연구소 1288 2005/07/22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