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해롱해롱 [seaeast2]
2006-04-03 09:21 X
제가 2006 써본결과 에디터의 변경과 기능 추가 만으로도 2006으로 옮길 가치가 충분 한것 같습니다. 저는 6버전에서 가장큰 불만이 느리고 불편한 에디터였는데, 이번에 2006 써보면서 그런 불만이 많이 사그라 들었습니다. 물론 vc + visual assist 조합에는 멀었지만요..^^
// VC++ 2005 에서 테스트한 건데 잘 됩니다.
#include "stdafx.h" class 클래스 { private: int 초기치; public: 클래스(int _초기치) { 초기치 = _초기치; } int 값() { return 초기치; } };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 이렇게 한글로 쓸 수도 있다. int 정수 = 1; double 실수 = 2.2; 클래스 수(2); printf("%d %g %d\n\n", 정수, 실수, 수.값()); getchar(); return 0; } // ㅠㅠ 빌더도 지원해 주길....... 무엇이 unicode를 지원하도록 되었는지가 중요하겠죠.
BDS2006 역시 Unicode 소스코드를 지원합니다. 당연히 컴파일러 역시 유니코드를 인식하겠죠. 한글 식별자 지원여부는 컴파일러에서 해당 단어를 키워드로 간주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이입니다. 제가 보기엔, 이미 컴파일러가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마당에 한글 식별자를 지원하느냐 마느냐는 정책적인 문제입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죠. 제가 VCL에서 유니코드를 지원했으면 좋겠다고 쓴 것은... 빌더나 델파이에 추가적으로 TntControls등을 설치하면 유니코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기본 VCL 레벨에서 유니코드를 지원해 주는 편이 훨씬 편리하단 말입니다. 예를 들면, Application->ExeName 같은 프라퍼티는 AnsiString으로 현재 실행파일의 경로를 돌려줍니다만... 이 경우 제 PC처럼 Locale이 일본어로 된 경우 한글 파일명 폴더에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 ExeName으로 얻는 경로는 다 깨집니다. 그래서 불편하더라도 GetModuleFileNameW 함수를 호출해야 하죠. 제대로 본 적은 없지만 VCL .NET은 전부 유니코드 기반일겁니다. .NET이 유니코드기반이니... ^^ 또 하나, VCL에서 유니코드 지원의 핵심인 WideString의 경우 AnsiString과 구현구조가 다소 달라서 BSTR이 아닌 wchar_t *을 직접 대입해버린다든지 하면 난리납니다. 함수 리턴값으로 WideString을 받는 경우도 AnsiString과는 달리 항상 메모리 복사가 일어나구요. 이건 BSTR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는 보지만... 그래도 좀 개선됐으면 하는 부분입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