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온라인교육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을 하다가 얼마전 급기야 사업을 접은 지인이 몇년전 제게 들려주었던 얘기가 있습니다.
같은 분야의 제품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외산제품과 국내에서조차 거의 판매가 되지않은 자사의 제품을 여러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보니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 외산제품보다 오히려 자사의 제품이 월등하였는데 실용성 측면에서 뒤떨어 지는 것을 발견했으며 그것이 제품실패의 가장 큰 이유라고 결론을 지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마켓팅측면은 접어두고 말입니다.
저도 같은 경험을 여러차례 한 기억이 있습니다. 솔루션을 검토하다보면 기능이 부족한것이 아니라 사용자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운 기능들이 오히려 많고 그럼으로써 가격상승의 원인이 되는 경우였습니다.
위의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을 진행했던 지인도 그와같은 실수를 했던 것입니다. 제품기획까지는 문제가 없었는데 개발도중 국내 여러 경쟁제품들과의 기능적인 우위를 두고 개발에 치중하다보니 정작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될 사용자의 입장은 덜 고려하게 되었으며 개발비용과 제품가격만 상승되었지 사용자 측면에서의 실용성은 오히려 떨어진 것 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제품의 좋고나쁨은 사용자가 판단을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기능이 훌륭하여도 에러가 자주 발생한다거나 가격이 너무 비싸다거나 고객의 환경은 열약한데 제품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인프라확장을 필요로 하는 등 실용성에서 떨아진다면 고객의 평가는 좋을수가 없습니다.
제품을 개발하기 전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개발도중 경쟁제품들의 장점을 하나둘 발견하게 되면서 자칫 고객들의 순수한 요구사항을 잊어버릴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가감없이 분석하여 기능적으로 구현한다면 개발비용도 줄일수있고 그럼으로써 제품판매를 위한 마켓팅에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할수 있게되어 제품성공에 유리한 조건을 갖게 될것입니다.
너무나 비싼 수업료를 치루고 사업을 접어야 했던 지인의 사업실패 소식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출처 : www.ittrend.co.kr/board/board/noddang_list.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