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1593] Re: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도움받는이... [] 1607 읽음    2006-04-06 22:13
우왑! 임프님께 직접 의견을 듣다니 가문의 영광입니다..(괜한 너스레 아님.*^^*)
암튼, 언급해주신 내용은 참고하겠습니다. 다만,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지 못한 것 같아 좀 더 부연하자면, 200개의 Connection은 쌍방향 통신이라 TCP로 구현하고 20,000개 정도는 그저 Broadcast해주면 되니까 UDP로 구현하려는데 이 방법도 문제가 있나요? 번거롭게 해드려 죄송하지만, 다시 한 번 의견을 부탁드려 봅니다... 꾸뻑!
더불어 지난번에 쓰신 글중에 서버구축에 관한 내용을 본 것 같아 드리는 말씀인데, 조립제품으로 서버를
구축하여도 별 문제가 없으지도 간단히 답변주시면 더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박지훈.임프 [cbuilder]   2006-04-06 22:23 X
영광이라니... 두드러기 납니다... --;;;;
저도 기냥 그렇고 그런 개발자의 한 사람일 뿐입니다. 특별히 잘난 것도 없는디...

UDP는 비연결지향이니까 앞서 제가 드렸던 말은 모두 '해당사항 없음' 입니다.
그런데, 요즘 인터넷의 속도나 신뢰도가 많이 올라가서 UDP 패킷이 유실되는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그래도 간혹 하나쯤 빠지는 게 있을 수 있는데...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저번에 제가 서버 조립에 대해 쓴 글에서는... 조립서버를 쓰라고 권장한 건 아닌데요. 저가 브랜드 서버의 경우 조립서버와 비슷하거나 아예 더 싼 경우도 있다고 썼지요.

그리고 유니와이드의 예를 들었었습니다. 저는 유니와이드와 아무런 관계도 없지만(영업사원이 한번 다녀간 거 외에는), 저가 치고는 꽤 좋은 안정성을 보이는 브랜드입니다.

유니와이드의 x86 서버는 듀얼코어 옵테론이 150만원대에서 시작합니다. 물론 아예 PC 부품만 가지고 조립하면 이보다 훨씬 싸게 조립할 수 있지만 서버가 아니라 PC죠.

그럼 PC와 서버의 차이가 머냐.. 하실 수 있는데, 뭐 한마디로 말하자면 안정성입니다. 서버용 부품은 안정성을 위주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조립을 해도 예를 들어 옵테론과 옵테론용 보드 등 서버용 부품을 가지고 조립하면 200만원은 가뿐히 넘어갑니다. 유니와이드의 저가 옵테론 서버보다 오히려 더 비싸죠. 게다가 피씨와는 달리 서버의 경우 하나의 머신으로 세팅되는 경우 조립하는 경우보다 당연히 안정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조립하느니 유니와이드 저가 서버를 구입하라고 권해드렸던 겁니다. 정말 없는 돈 짜내서 개인 사업 시작하려고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150만원은 결코 비싸서 구입을 못할 비용은 아니지요.
유니와이드 [uniwide]   2006-04-27 15:52 X
안녕하세요. 유니와이드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한 말씀 드립니다. 위에 분이 써주신 내용을 좀 자세히 확인하고 싶습니다. 글을 보면 당사 서버가 마치 불량률이 많은 저질 제품으로 인식되게끔 말씀하시고 계시는데, 저는 사실과 다름을 알려드립니다. 당사는 현재까지 대부분의 유명 온라인 게임, 대형 포털사들을 고객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당사 제품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서비스 운영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물론 서버 또한 사람이 만드는 제품인지라 불량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철저하게 대 고객지원을 하여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자동차 또한 리콜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리콜을 많이 한다고 해서 그 자동차 회사를 신뢰하지 말라고 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철저하게 제품불량을 인정하고 리콜해주는 회사라면 그 메이커를 신뢰할 수 있는 것 아닐까요? 제가 드린 말씀에 오해없으시길 바라고 당사 제품을 사랑해주시는 고객분들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1586 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여기서 도움만 받는이 1791 2006/04/06
11593     Re: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도움받는이... 1607 2006/04/06
11594         Re:Re: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도움받는이.. 1496 2006/04/06
11595             Re:Re:Re: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도움받는이... 1640 2006/04/07
11597                 Re:Re:Re:Re: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도움받는이... 1492 2006/04/07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