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2244]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을 유발했다는 기사...
박지훈.임프 [cbuilder] 2070 읽음    2006-10-14 12:52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FT 보도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64169.html

평소 제가 생각했던 것과 거의 똑같아서 올려봅니다. 한번 생각해볼만 하지 않을까 싶네요.
조성택, 클라인 [whtjdxor]   2006-10-14 18:37 X
동감하는 글이네요.. 흠..
ayh [h1800]   2006-10-15 02:20 X
몇 년전 기술직 공무원으로 근무하시다 퇴직하신 저희 아버지께서는 30년 전의 고졸 학력의 분들보다도 현재의 대졸자들이 업무 능력이 대체로 떨어지는 것 같다고 얘기하시더군요. 저도 제가 사람 뽑아보기 시작하면서 4년제 대학 졸업자 임에도 한글 맞춤법이나 영어 스펠링,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논리적인 사고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평가를 할 수 밖에 없는 분들을 많이 접해보았습니다. 교육열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실제적으로 간판만을 바라보는 잘못된 형태의 교육열이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정말 교육열이 높다면 이공계 대학원에 사람 없어서 난리가 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긴, 돈만 주면 무조건 받아주는 몇몇 대학원들도 문제입니다만.
아무튼, 소위 학위 시스템 자체가 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지금처럼 학사, 석박사 학위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양상이 지속된다면 말이죠.
정찬호.라다 [rada]   2006-10-15 15:10 X
저명한 경제학자인 슐츠의 인간자본론에 따르면 교육을 통해서 지식과 기능을 갖추게 되면 생산성이 증가하여 인간의 경제적 가치가 증가하고, 따라서 사회도 같이 발전한다고 하지요. 여러가정들이 있지만 분명히 슐츠의 이 이론은 2차대전 이후 파괴된 나라들의 복구에도 크게 기여한 것은 사실입니다. 실제로 한중일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경제발전이 타지역보다 빠르게 이루어 진것을 이 이론에 빗대어 설명하는 사람들도 많구요.

하지만 이 이론에서 중요한 점은 경제발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때 더 잘 적용된다는 거죠.. 지금 한국사회는 인간자본론을 넘어서 지위경쟁이론으로 설명 해야하는데요..

아직까지 사람들이 무의식중에 저 인간자본론을 믿고있는게 아닐까 합니다.

그러다보니 학력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되구요

+ -

관련 글 리스트
12244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을 유발했다는 기사... 박지훈.임프 2070 2006/10/14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