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델파이 연합 세미나 2006 후기
건국대학교 새천년기념관 2006년 11월 11일 오전 10시 ~ 오후 5시30분
안녕하세요.
지난 토요일에 있었던 세미나 참석 후기입니다.
전철을 타고 건국대역으로 이동하여 내려보니 예전 건국대 주변 모습은 거의 찾아 보기가
어렵더군요.
예전에 건대글방이 있던 자리는 몇년전에 커피전문점으로 바뀌어 있고, 건국대도 예전 민중병원이 새로 건물을 짓고 건국대의료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네요.
주위는 온통 공사중이구요.
오래간만에 가본터러 새삼스러웠습니다.
9시30분정도에 건국대 새천년기념관 지하의 세미나장소로 가보았습니다.
벌써 수십명의 참석자분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계시더군요.
입장은 조금 늦게 시작되어서 10시가 조금 지난시간에 세미나가 시작되었습니다.
연합회 회장님이신 양병규님의 인사로 시작한 세미나였습니다.
-------------------------------------------------------------------------------
@터보 델파이를 이용한 화면 동영상 캡쳐 프로그램 / 류종택님
제 개인적으로 터보 델파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서 터보 델파이의 면목을 볼 수 있을 거라 예상을 하였지만 세미나에서는 BDS 2006으로 진행을 하여 조금 아쉬운 면이 있었습니다.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위안을 삼으며 세미나를 경청하였습니다.
동영상 캡쳐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신 것이지만 류종택님께서는 논리(추상)계층과 구현계층을 설계하고 이들의 관계 및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강조하셨습니다.
논리계층끼리만 참조를 하고 논리계층을 실제로 구현한 구현계층은 자신이 상속한 논리계층의 클래스가 아닌 다른 논리계층의 클래스는 참조하지 않는 것등 논리와 구현계층간의 관계 설정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하고, 이를 실제 동영상 캡쳐 프로그램 제작에 어떤 식으로 적용하였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설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알게되는 시간 이었습니다.
-------------------------------------------------------------------------------
@스크롤바 스킨 콤포넌트 / 조무영님
원래는 박지훈님의 순서가 먼저였으나 사정상 순서를 바꾸어서 진행하였습니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스크롤바를 구현하는 과정을 세심하게 살펴 주었습니다. 하지만 되어져 있는 것을 보는 것과 실제 구현해 보는 것은 하늘과 땅차이라는 생각이 절실히 들기도 하였습니다. 소스를 제공하여 준다고는 하였지만 정작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
@위젯 프로그래밍 / 양병규님
많은 분들이 기다렸던 시간이 아닐까 합니다. 더하여 계산기 파서까지도 같이 소개하였지만 저도 계산기 파서 중간에는 좀 졸았습니다. ^^;
윈도우 2000부터 지원하는 UpdateLayeredWindow() API를 이용하는 것으로 png 파일과 32비트 비트맵을 이용하여 위젯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png 내부 파일의 설정은 RGBA 로 레드,그린,블루와 알파값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에 비트맵을 이용한 UpdateLayeredWindow() 에 적용하려면 RGBA 값을 알파값이 적용된 RGB값으로 변한하여야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관련된 내용은 MSDN를 참조하여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winui/winui/windowsuserinterface/windowing/windows/windowreference/windowfunctions/updatelayeredwindow.asp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gdi/bitmaps_3b3m.asp
-------------------------------------------------------------------------------
@DataSetOpenDialog 컴포넌트 / 박지훈님
시간이 좀 지체되어 딱 10분만 하겠다고 하였지만 40분정도 진행이 되어서 나현호님 시간이 좀 늘어났습니다. DataSet 사용시 데이터를 DB로 부터 읽어 올 때 대기시간이 발생이 되어 사용자에게 대기중임을 알려주는 처리를 할 경우에 다른 폼의 입력까지도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개선하는 DataSetOpenDialog 를 소개하였습니다. 소스가 공개된다고 하니 살펴보려고 합니다.
-------------------------------------------------------------------------------
@[Case Study] .NET과 Win32 간의 C/S 프로젝트 / 나현호님
지난 8월 - 10월 사이에 진행하였던 실제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기존 MDB로 로컬과 내부 네트웍에서 사용하던 업무프로그램을 외부 영업사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업무 시스템을 개선하고 확장하는 프로젝트였습니다. 프로젝트의 수주에서부터 마무리까지의 개발외적인 부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을 강조하였습니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1. 기본분석
2. 제안서 작성
3. 프로젝트 계약
4. 기존 시스템 상세 분석
5. 추가 요구사항 분석
6. 업무 설계, FrameWork 설계
7. 구현
8. 테스트, 시험운영, 수정
9. 완료
특히 계약서에 프로젝트 비용 책정과 대금결제방법과 일시등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XML 와 http를 이용하여 DB와 관련된 처리코드 생성하는 툴을 소개하였습니다. XML로 정의된 workspace.xml를 읽어서 처리코드를 생성하는 툴 데모를 보면서 맞아 저런것이 필요했던 것이야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사용된 툴은 DB와의 연동을 위한 ASP.NET, ADO.NET과 클라이언트는 델파이7로 개발되었고, 관련된 데모를 모두 시연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일정이 짧아서 기존의 ASP.NET(C#), BDS 2006 를 사용하려고 하였으나 BDS 2006에서 델파이와 C#를 동시에 사용하려고 하니 BDS 2006가 자꾸 다운되는 현상이 나타나서 델파이 7로 클라이언트를 구현할 수 밖에 없었다는 어려움도 소개하였습니다.
-------------------------------------------------------------------------------
세미나를 모두 마친 후 연합회 회장님의 마무리로 모두 마쳤습니다.
요약하자면 누구는 이툴이 좋고 다른이는 저 툴이 좋다고 하지만 정작 이툴과 저툴은 선택하는 사람이 충분히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다면 어느 것이던 문제가 되지않으니 준비된 개발자가 되자는 것입니다. 저는 이렇게 이해를 하였는데 다른 분들은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참석자 전원에게 USB로 데워지는 컵을 제공하였습니다. 겨울철 개발자들에게 꼭 필요한 도구가 아닌 가 싶습니다.
뒷풀이는 건대역 근처 삽겹살 집에서 약 30여명이 하였습니다. 개발자들만의 이런 자리에는 아주 오래간만에 가게 되어 좀 어색하였지만 배가 차오고 분위기가 무르익자 관심사와 이야기 꽃으로 시간이 훌쩍 지난 즐거운 뒷풀였습니다.
1차만 딱하고 저는 헤어졌는데요. 그뒤는 모르겠습니다.^^
세미나를 준비하여 주신 연합회 운영진님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해드리며,
간략하게 정리한 세미나 후기 입니다.
겨울내내 건강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