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2438] [블로그 뉴스] MySQL, 인터베이스, 파이어버드, SQL 서버: 가격과 라이선스
박지훈.임프 [cbuilder] 3870 읽음    2006-11-26 02:30
원문 : 마르코 칸투
http://blog.marcocantu.com/blog/mysql_interbase_firebird.html



어제 전 인터베이스 2007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인터베이스 2007의 새로운 기능들의 일부는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인터베이스의 가격도, 마이크로소프트의 SQL 서버나 다른 비공개 데이터베이스들과 비교했을 때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파이어버드와 같은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지 않겠다고 결정했을 때의 얘깁니다. 세미나 중에, 우리는 여러 데이터베이스들의 가격 정책에 대해 토론했고, 또 오픈소스 대안들에 대한 얘기들도 나누었습니다.

오늘, 닥터 도브 저널의 12월호를 읽다가 다음과 같은 글을 발견했습니다. "MySQL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는 기업 데이터 관리와 트랜잭션 관리, e커머스와 웨어하우징 애플리케이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는 이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이 글은 MySQL을 최적화된 컴파일러로 리컴파일하는 법에 대해서는 알려주면서도 MySQL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더군요. MySQL의 라이선스는 계속 오해를 퍼뜨리고 있습니다. MySQL은 오직 GPL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무료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부 FLOSS 라이선스에 대해서도 무료입니다) 이것은, DB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고 싶지 않다면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 얼마나 많은 '기업' 애플리케이션들이 오픈소스로 공개되고 있습니까? MySQL AB는 "4천개 이상의 지불 고객들이 상용 라이선스를 선택했고 4백만 이상이 오픈소스 GPL 라이선스를 선택했다" 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저는 4백만 중에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합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이제, 가격 측면을 살펴보면, MySQL 라이선스는 연간 서버당 595 미국 달러로부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MySQL이 가격 면에서는 상당히 혼란스럽기 때문에 확실한지는 모르겠습니다) 플랫 라이선스는 찾을 수 없었으며 오직 기술지원 요금을 포함한 연간 라이선스만이 포함되어 있더군요. 이 가격은, 만약 여러분이 인터베이스를 몇년 동안 운영한다면 가격이 비슷해질 것이며, 물론 클라이언트 라이선스를 고려하면 비교하기는 좀 어려워집니다(인터베이스의 경우 595 달러에 4유저 라이선스를 구입할 수 있지만, 시간의 제한이 없습니다... 한편 무제한 클라이언트 인터베이스 라이선스는 4,200달러입니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SQL 서버는 워크그룹 에디션에 대해 프로세서당 3,899 달러이며, 스탠더드 에디션은 프로세서당 5,999 달러,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은 24,999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가격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MySQL은 오픈소스 제품들과 비교되어야 진정한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이어버드같은 것 말입니다. 파이어버드는 MPL 라이선스 기반의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파이어버드는 free한데, 여기서 free는 "free speech"(자유 발언)이라고 말할 때의 자유를 의미하기도 하고 또한 "free beer"(무료 맥주)라고 할 때의 무료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사용자는 그냥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면 끝입니다. 그것 뿐입니다. 어느 누구도 라이선스에 대한 비용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단지 몇몇 기업이 기술지원을 제공할 뿐입니다. (코드기어가 파이어버드에 대한 지원도 제공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별개의 이야기이며 여기서 더 논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결론은 뭘까요? 무료로 알려져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심지어는 자사의 사이트에서조차도 분명한 라이선스 비용을 명시하지 않고 있는데, 단지 비용에 대한 오해 덕분에 거대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ySQL 웹 사이트를 방문해서 라이선스 규정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하고, 결국 완전히 무료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며, 또 (제가 보기엔) 그들 자신이 라이선스에 대한 오해를 퍼뜨리고 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합니다. 다른 결론? 파이어버드는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파이어버드는 유일한 진정한 오픈소스 DB입니다. 인터베이스도 더 많은 마케팅을 필요로 합니다. 인터베이스를 소유한 회사는 그 기술적 퀄리티를 중요시하지 않고 있으며 사람들이 다른 비공개 데이터베이스 벤더들과의 상대적인 가격 차이점을 알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김호광 [testcode]   2006-11-27 19:30 X
MySQL 국내 총판이 영업도 합니다. -;;
http://bsdforum.or.kr/viewtopic.php?t=274&view=previous&sid=dd326ed3bc72f14170598835000e23eb
총판은 솔빛하이테크라고 알고 있습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2438 [블로그 뉴스] MySQL, 인터베이스, 파이어버드, SQL 서버: 가격과 라이선스 박지훈.임프 3870 2006/11/26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