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제 경우엔 쓰레드 디버깅 시 잘 죽습니다. BCB6 시절에서도 XP에서 쓰레드에 브레이크포인트 걸고 디버깅을 하면 거의 죽었구요, 2006에서도 거의 동일한 문제가 있군요.
다행히 쓰레드나 DLL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LOG시스템을 만들어서 그걸로 쉽게 추적해 볼 수는 있습니다만 여전히 불편한건 사실입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선택한 방법은 쓰레드에 붙이는건 맨 마지막에 하고 쓰레드에 쉽게 얹을 수 있는 구조로 프로그램을 설계해서 개발단계에선 메인 쓰레드에서만 돌게 작업하고 마지막 릴리즈 직전에 쓰레드에 얹는 방식으로 하는데 꽤 괜찮군요. 동기화 되는 부분만 신경써서 작업해 주면 쓰레드에 얹으면서 새로 생기는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처음 출시된 직후 서비스팩이 나오기 전에는 종종 뻗었었는데... 지금은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주 안정적으로 돌아가고요. 블러킹되어 몇초동안 응답없음 상태가 되는 것도 최근에는 겪어보지 못했습니다.
저희 팀에 BDS 2006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몇명 더 있는데 죽는 문제에 대해서는 최근에는 들어본 적이 없구요. 다만 디버깅하다가 디버깅 대상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오류 때문에 BDS까지 같이 죽은 경우는 가끔 있습니다. 소스코드를 다시 확인해보면 거의 제 잘못이긴 한데, 그래도 애플리케이션 오류로 디버거인 BDS까지 같이 동반자살하는 것은 좀 웃기죠. 한석복님께는,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쓴다는 라이브러리를 의심해보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저도 물론 제가 만들어쓰는 자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이전 버전에서 문제없이 쓰던 루틴이라도 새 버전에서 말썽을 부릴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가장 흔한 것은, VCL 등 BDS의 라이브러리 루틴을 호출한 부분에서 그 루틴이 기존 버전과 동작이 바뀌었을 경우입니다. 빌더나 델파이 버전이 올라가면서 루틴의 동작이 바뀌는 것 자체는 흔하지 않지만, 그 바뀐 것이 단 한개라도 같은 루틴을 반복해서 라이브러리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했거나 혹은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함수에서 그 루틴을 호출했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죠. 또, 처음부터 문제가 있던 루틴인데 신 버전에서만 문제가 드러나고 구 버전에서는 문제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도 가끔가다 제 라이브러리의 오동작을 디버깅하다보면, 제 라이브러리에서 이런 버그를 가끔 발견하는데, 예전 버전에서 오동작하지 않았던 것이 신기할 경우가 있답니다. 제가 일전에 올린거처럼 Turbo C++이지만 bds.exe가 CPU를 상당히 점유 하는 버그가 잇다고 올린적이 있습니다.
임프님 이야기 해준대로 핫픽스 설치후 없어 젔습니다. 현재 보면 CPU는 대기 상태에서 약 2 ~ 4 오락가락인데 이정도도 사실은 무언가를 하는 것처럼 cpu그래프를 많이 흔들기는 합니다만 핫픽스 설치 전에는 bds.exe가 특정 시간 이상 오래지나면 80 ~ 90%를 차지해버리는 엄청난 사태에.... 메모리는 약 20메가 정도를 잡아 먹구 잇는듯 하구요. 컴퍼넌트를 모두 빼버렷습니다. 메모리를 약간 줄이는듯 , 쓰레드 디버깅시 뻣는건 XP에서 VC나 볼랜드 C++이나 동일한데 그래도 다행인건 BDS는 가끔 돌아 올때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디버깅 하다 죽으면.. 걍 기달리면 어쩐대 돌아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그런데 근래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젝트처럼
폼이나 유닛이 많은 프로젝트가 별로 없어서인지 큰 불편은 없습니다.
다만, 저는 디버깅 모드 (F7, F8. F9 실행)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컴파일 후 실행파일을 통해서 테스트를 주로 하고
특별히 에러가 있을 때 디버깅 모드를 간간히 사용합니다.
주위에서 작업하는 다른 사람들 보다 BDS가 맛이 가는 횟수가 적습니다.
(그래도 가끔 뻗습니다 ㅡ.ㅡ)
델파이 7.0 이하 버전에서도 저는 그렇게 해온 편입니다.
그런데 제가 제일 답답한 것은
BDS에 있는 투게더 포 델파이 입니다.
이넘이 가끔씩 오동작도 하고
델파이 코드와 잘 맞지 않아서인지 자동 코드 생성 부분에 불만이 많습니다.
근래에는 다이어그램 따로 소스 따로 작성하는 ㅡ.ㅡ;; 짓을 합니다.
여하튼 모든 델파이 버전은 디버깅 모드에서 취약합니다.
(당연히 그럴 수 밖에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