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7518] License for BOOST
둘리.CSIEDA [dooly386] 3915 읽음    2010-01-14 17:28
2010 에 보니까 BOOST 가 업버전이 들어 있더군요.
저같은경우 2009 를 사용중인데요.
2009에 있는 BOOST 는 제가 필요한 Boost Graph 부분이 없더군요.
2010에는 포함되어 있더군요.. 2009도 패치로 해주면 좋을텐데요..

궁금한것은
1. 2010에 있는 boost 코드를 2009 로 가져왔을경우 컴파일이 호환성이 있는지.. (누구 해보신분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만.)
2. (1)번이 가능하다면, 2009를 사용하지만 2010의 boost 코드를 가져와 쓰면 저작권법 위반인지... (boost 는 open source 라서 문제가 될거 같지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박지훈.임프 [cbuilder]   2010-01-15 02:08 X
C++빌더 2010의 라이선스 관련 고지를 보면 Boost 관련으로는 아래의 URL을 따른다고 되어 있습니다.
http://www.boost.org/LICENSE_1_0.txt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닙니다. 아래 페이지를 보시면, Boost의 일부가 위의 Boost 라이선스가 아닌 자체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http://www.boost.org/users/license.html

Boost 라이브러리를 운영하는 측에서는 가급적 위의 포괄적인 라이선스로 통일하고 싶어하지만 그게 힘들다고 하는군요. 따라서 Boost를 사용하는 데에서 라이선스 위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전혀 없지는 않아보입니다.
둘리.CSIEDA [dooly386]   2010-01-15 02:32 X
답변 감사 합니다. Boost 자체가 많은 OpenSource Coder 들이 모여 자신들이 맡은 부분을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이에 각 개발자들에 대한 라이선스가 특별히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라이선스를 쭉 읽어보니 특별한 경우가 없는한 라이선스 문제는 없을듯 하군요.
사실 여기에 물어본건 Codegear 에서 특별히 2009 또는 2010에 넣은 boost 에 대한 특별한 라이선스 규정이 있는가 해서 입니다.
그 원천이 Opensource 에서 나온 라이선스기 때문에 사실상 특별한 제약을 두기 힘들겠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별 문제가 없겠군요.. 솔직히 C++ Builder 의 파싱이 Boost 같은 open source 에 대하여 호환성을 제공해준다면 문제가 없을듯 합니다. 버젼업이 되면서 이러한 호환성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는듯 보이지만 업그래이드를 꼭 받아야 이런 문제를 해결하게 되니.. 다소 불편은 있습니다. 일년에 한번씩 버전을 바꾸고... 이에 발마추어 따라가지 못하면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어야 한다는것이 아쉬운거죠..

늦었지만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번창하시길...
Lyn [tohnokanna]   2010-01-15 12:57 X
둘리 // 사실 그건 C++ 표준을 지키는 컴파일러가 없기 때문이라고 봐야할듯...

표준이 실제 컴파일러보다 너무 앞서나가다 보니... 10년전에 만들어진 C99 표준조차 완전히 지키는 컴파일러가 없죠...
박지훈.임프 [cbuilder]   2010-01-15 13:39 X
C++ 컴파일러가 C99 표준을 지켜야 하느냐는 좀 다른 문제인 듯 싶습니다. 두 언어가 많이 유사하고 사용자도 많이 겹치기도 하지만, 표준의 관점에서는 다른 언어죠. C99는 엄연히 C 언어의 표준이기 때문에, C++ 컴파일러가 지켜야 한다는 건 좀 무리라고 봅니다. 물론 두가지 다 지원하면 한 컴파일러를 완벽한 C 컴파일러 및 완벽한 C++ 컴파일러로 겸용으로 사용한다는 장점도 있겠지만...사실 이렇게 타게팅해서 개발되는 상용 개발툴은 없죠.

그런 면에서 C99는 C++ 개발의 입장에서는 크게 이슈가 안되는 거 같구요. C++빌더의 경우에도 사용자 설문조사를 할 때마다 거의 매번 C99의 중요도를 묻고 있는데 뭐 저 자신도 그렇고 주변의 C++ 개발자들도 그렇고 C99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습니다. 반면 C++의 표준인 C++0x는 크게 이슈가 되고 있죠.

그건 그렇고... 2010년이 됐는데, 이제 그만 C++0x이 아닌 C++1x라고 불러야 할 듯...
(스트로스트럽 아저씨 뻥쟁이!!!)
Lyn [tohnokanna]   2010-01-15 14:06 X
아.. C99 는 그냥 예구요... C++ 표준도 사실 다 지킨 컴파일러가 없죠...

C++0x 의 X는 16진수라는 얘기가 있으니 아직 6년은 더 때울 수 있을듯
Lyn [tohnokanna]   2010-01-15 14:06 X
C++ 템플릿 라이브러리들 보면 부분특수화를 어느정도까지 지원하느냐에 따라 코드가 달라져서 #ifdef 로 떡칠된 소스를 구경할 수 있던..
둘리.CSIEDA [dooly386]   2010-01-15 14:18 X
돈주고 산 제품 호환성 좋길 바랄뿐 입니다. 표준이 뭐가 됬든 시장에서 VC++ 보다는 Opensource porting성이 떨어지는것 사실이니까요.. 앞으로 좋아지길 바랍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7518 License for BOOST 둘리.CSIEDA 3915 2010/01/14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