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9200] 윈도폰7 관련 기사 하나...
박지훈.임프 [cbuilder] 4603 읽음    2011-02-25 17:42
윈도폰7 "앱 이식 더 어려워졌다"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uid=87589

"아이폰의 경우 Ansi C/C++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UI 부분만 Objective C를 이용하면 된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Java 기반이라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코어 부분은 NDK라고 하는 툴을 이용해 Ansi C/C++을 사용한다. 그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모바일 디바이스는 퍼포먼스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의 코드는 서로 공유할 수 있어 이식하기 쉽다.

그런데 윈도폰7은 다르다. 기본 언어가 C#.NET이기 때문에 C/C++은 사용할 수 없다...."


미래 일은 미래에 가봐야 확실히 아는 거겠지만... 개인적으로 윈도폰7의 성공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봅니다.
특히 노키아와 MS가 제휴했다고 하는데... 맹렬히 추락하고 있는 두 '거대 루저'들이 연합해봤자 더 빠르게 추락할 뿐일 겁니다.

종국에는... 소프트웨어 기술로는 '순수 네이티브', 그리고 '순수 웹' 두가지의 기술만이 변함없는 대세로 남을 것입니다.
오직 이 두가지 기술만이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궁극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RIA, 닷넷(윈폼, WPF), 이런 것들은 네이티브도 아니고 웹도 아닌 어정쩡하기 그지없는 기술들이죠.
이런 기술들은 시장의 동향이 조금만 바뀌어도 허물어져버릴, 짧은 시간에 지나가는 과도기적 기술에 불과할 뿐입니다.
Lyn [tohnokanna]   2011-02-25 17:58 X
어거지인듯 안드로이드 얘기는
박지훈.임프 [cbuilder]   2011-02-25 18:04 X
안드로이드에서도 보다 빠른 처리를 위해서는 NDK JNI로 C/C++을 쓴다는 얘긴데 왜 어거지인듯?
무능력 [sykelos]   2011-02-25 21:34 X
이건.. delphi로도 윈도폰앱을 만들수도 있겠군요?
소지영(몽인) [neonim]   2011-02-25 22:07 X
안드로이드에서 더 빠른 처리를 위해 NDK를 쓰는건 그다지 좋은 생각은 아니네요.
효율성 때문에 멀티플랫폼을 고려해야 하니 어쩔수 없이 쓰는 방법이지 퍼포먼스 향상은 아니네요.
퍼포먼스를 위한다면 NDK는 어쩔수 없이 써야 하는 경우에만 쓰는게 좋습니다.

윈도모바일이야 C++로 라이브러리 만들고 랩핑해서 쓰면 될테고요..
박지훈.임프 [cbuilder]   2011-02-26 11:56 X
소지영님, 말씀하신 내용이 좀 의아해서...
안드로이드 자체는 자바 기반 OS가 아닌 리눅스 위에 자바를 올린 건데, C++ 네이티브 루틴을 이용하는 것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씀...? 그런 의미시라면... 일반적인 상식과는 좀 다른 말씀인 것 같네요. 서버나 PC 개발에서는 자바로 충분한 성능이 나오지 않을 경우엔 C++ 등으로 네이티브 모듈을 만들어 호출하는게 일반적이지 않습니까.

아래 링크를 보면.. 안드로이드에서도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NDK JNI를 이용하는 게 일반적이고 점점 더 늘어나는 것 같은데요.
http://atg.or.kr/blog/archives/tag/ndk
김도완 [purplecofe2]   2011-02-26 18:27 X
안드로이드 3.0부터 C/C++로 개발 가능합니다~
소지영(몽인) [neonim]   2011-02-26 18:41 X
툴체인에 불과한 NDK로 코어를 개발하는건 말리고 싶을 정도 였는데 링크된걸 보고서 NDK가 비약적으로 발전 했다는걸 알았네요.
NDK R5 부터가 진짜 NDK라고 부를만 한거 같습니다.


왜 NDK사용의 자제를 말했냐 하면요...
예전의 NDK를 가지고 만들 경우 이렇습니다...
코어를 분리해서 만드는 이유가 업무 효율 때문인데,
윈모, 아이폰, 안드로이드 세가지 플랫폼을 고려하다 보면 코어를 만드는 작업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경우 처럼 되어 버립니다.
작업하다 보면 문자열 핸들링 하는 라이브러리 부터 다 작업하는 수준까지 내려가 버리다가 나중에는 메모리 핸들링까지 하는 라이브러리도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실제 필요한 코어를 작성하기까지는 상당히 많은 양의 코드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물론 설계도 복잡 해지겠죠..
편하게 하고자 했던게 참 불행하게 되어버리는거죠.

어쨌거나 작업을 해서 마무리를 하지만 자체 제작한 이런 라이브러리들을 달빅수준까지 끌어 올리려면 수많은 테스트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단시간 안에 이런 작업을 해서 달빅 수준까지 끌어 올릴수 있다면이야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제 하는게 좋겠죠.
더군다나 프로요로 가면서 JIT(Just-In-Time) 컴파일러 시스템을 도입해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속도를 최대 5배까지 끌어올렸다고 합니다.
어지간히 투자하지 않고서는 달빅머신보다 못하니 자제하는게 좋다는 의미였습니다.
네이티브코드의 성능이 않좋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제가 볼때 NDK사용은 성능향상 보다는 어쩔수 없이 업무의 효율을 위해 크로스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 쓰인다고 보는거죠.

그런데 NDK R5에서 NativeActivity를 지원하던데 몽땅 Native로 개발해도 되겠네요.
이렇게 되면 wxWidget이나 LCL에서도 안드로이드를 지원하지 않을까 하네요.
Lyn [tohnokanna]   2011-02-26 18:55 X
내가 안드로이드에 관심 끊은동안 상황이 좀 바뀐모양이네요...

내가 볼땐 안드로이드어플리케이션의 네이티브 개발은 하는놈도 없고 하는것 자체가 미친짓이었는데..
Lyn [tohnokanna]   2011-02-26 18:56 X
근데 다시 둘러 봐도 쓰는사람이 얼마냐 있느냐에 대해선 극히 의문이..
자연인 [jayeonin]   2011-02-26 21:29 X
전설의 김도완님 오랜만에 뵙는군요.

+ -

관련 글 리스트
19200 윈도폰7 관련 기사 하나... 박지훈.임프 4603 2011/02/25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