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아니라 몇가지 질문과 도움이 필요해서 이렇게 메일을 띄우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VC++ 유저였고 지금 새로 입사한곳에서 C++Builder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매일 볼랜드 포럼에 들어 가 보게 되었습니다.
질문이 좀 많고 또 다양하지만 질문 하실수 있는것만 해 주시고 나머지는 관련 책같은거나 사이트를 알려 주심 감사 하겠습니다.
1. C++ Builder의 구조 예를 들어서 맨 위에 개발 Interface가 있겠고 그 밑에 프레임 워크가 있겠고 그렇겠죠?
그때 프레임 워크에서는 VCL / CLX가 지원 되겠고 컴파일러도 있겠지요. 자 그럼 여기서 부터
그때 각각의 역활이 궁금 하군요. 예를 들어서 비주얼C에서 MFC에서 버튼을 하나 만들려고 하면 리소스 창에서 버튼 하나 올려 놓고 클래스 위자드에서 CButton 객체 하나랑 그 리소스랑 같이 연동을 시켜 주고 (DDX/DDE기술포함) 해당 이벤트 함수를 만들어 주면 되게 되었는데 C++Builder에서는 폼 베이스에서 버튼 하나 올려 놓으면 저절로 객체 하나가 생기구 Inspector에서 이름과 해당 이벤트를 곧바로 연결이 되어서 곧바로 쓸수 있던데 과연 툴에서 해 주는 역활은 어디 까지고 또 내부적으로 숨어 있는 나머지 부분은 과연 어떤것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압박을 합니다.
2. VCL은 단순한 라이브러리 입니까? ActiveX와 비교를 하자면 VCL은 컴포넌트를 비주얼하게 보여주고 또 사용하게 도와 주는 모든 부분을 가지고 있는데 ActiveX와 굳이 비교 하자면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군요. ActiveX는 COM방식으로 만들어 져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3. 기본적인 C++Builder의 컨셉을 알고 십습니다. 게시판을 보다 보니 특히 임프님의 말씀은 C++Builder는 Two-Way-Tool로써 순수 코딩으로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아니면 RAD의 기능으로 생산성을 높일수 있다고 말씀하신걸로 기억을 합니다.
과연 말씀 그대로 입니까? 단순한 그정도(?)의 컨셉만을 가지고 있는지요. VC++ 같은 경우는 새로운 신기술을 적용 시키기가 빠르게 되어있어서( 물론 주체측의 농간이긴 하지만요) 거기에 대한 컨셉도 잡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개발을 할때 머 말하자면 요구분석과 설계 코딩 디버깅 완료 머 그렇게 나누는데 C++Builder로 개발을 할때 설계시 어떻게 초점을 맞추고 또 어떤 방법으로 하는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또한 코딩과 인터페이스 설계시 유의 사항정도 .. 그렇게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고요
4. 마지막으로 CLX가 지원된다고 하는데 Windows 플래폼에서 개발해서 곧바로 유닉스 시스템에 올라갑니까? 만약 곧바로 안올라 간다면 어떻게 올리수 있습니까? 어떤 구조와 동작을 하길래 과연 그것이 가능한지요..
마지막 질문은 아직 CLX 소스를 참조해 보지 못해 드린 질문입니다. 이제 막 시작이라 정말 정신도 없고 너무 툴쪽으로만 눈이 돌아가서 전반적인것이 너무 부족해 이렇게 질문을 띄우게 되었습니다.
너무 질문이 많고 또 폭넓게 질문 하였지요? 헤헤 귀여운 후배라고 생각 하시고 님들도 예전에 막 출발 했을때를 생각 하시어 귀엽게 봐 주십시요.
머 나중에 제가 밥이라도 한끼 사드려야 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너무 장황해서
그럼 답변을 기다려도 되겠는지요.
날씨가 많이 쌀쌀해 졌습니다.
건강 유의 하시고 하시는 일 잘 되길 빌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