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방법도 있다고 하네요... ^_^
환승요금 허점노린 '버스타기 얌체족' 확산
[스포츠조선 2004-07-07 12:55]
이달부터 바뀐 서울시 대중교통체계에 새로운 허점이 발견됐다.
이동거리에 비례해 최대 800원까지 추가로 내야하는 버스 환승요금을 단돈 100원으로 때울 수 있는 편법이 네티즌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는 것.
한 승객이 지하철 또는 버스를 탄 뒤 최종 목적지에 가기 위해 다른 버스로 다시 갈아탈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사람은 갈아탄 버스에서 탑승구쪽 교통카드 단말기에 카드로 체크한 뒤 곧바로 뒤쪽으로 가 출구쪽에 설치된 교통카드 단말기에 다시 카드를 댄다.
이럴 경우 환승한 버스의 교통카드 시스템은 이 승객이 버스를 갈아타자마자 금세 내린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 승객은 20㎞를 타고 가든, 30㎞를 더 타고 가든 추가 환승요금은 최저금액인 100원만 부담하게 된다.
바뀐 서울시 교통체계에 따르면 10㎞까지 기본요금은 800원이고, 갈아탄 뒤 5㎞ 초과당 100원이 붙어 최대 800원까지 더 내게 된다.
이런 편법은 몇몇 인터넷 사이트와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나도 해봐야지" "아하~ 그렇구나" 등 호응을 하거나 "아무리 세상이 어려워도 이런짓을..." 등 질책해 찬-반 양론이 엇갈리고 있다.
서울시 버스체계 개선반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시스템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다. 어쨌든 부정승차인 만큼 시민들의 양심에 맡길 수 밖에 없다"며 난처해 했다.
< 이백일 기자 maverick@>
이명박 "시민들이 공부를 안해서 버스 혼란이 왔다"
->시민들은 똑똑해서 벌써 이런 방법도 찾아냈다.
이제 누구 탓?
시민은 똑똑하다 -> 추천
이명박 네가 바보다 -> 추천
|
부산은 환승할때 연동되는가요? 예전에 1회용 표를 지하철에서 환승포함해서 구입하면
10원인가 할인 받았었는데, 지금은 모르겠군요. 그냥 찍으니 요금이 얼마인지도
모르고 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