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Win32API 대한 이해만 충분히 하신다면 가장 하고싶은 한분야에 대해서 공부해보시는것이 어떠실지요 ..^ ^ 로우레벨프로그램이나 상위레벨 프로그램이나 ( 솔직히 구분 짓는것도 좀 머하군요 ) 프로그램 스킬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에 분야에 점점 노하우가 생긴다는것이지요 .
백신이나 악성코드는 예전에 보안업체에 계신분에게 물어본적이 있습니다만 거의 DB와 패턴 분석 으로 이루어 진다구 하더군요. 압축 화상 음성 등등 분야는 공업수학과 이산수학 정도 공부해두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종종 선형대수학 부분들도 나오기는 합니다.( 영상이나 음성은 신호처리를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됩니다. 영상압축이나 음성압축은 하드웨어 구성을 소프트웨어 상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미적분 무자게 많이합니다. - 대략 하드웨어쪽은 DSP 칩에 미적분기가 붙어서 -_- 그냥 핀에다 신호만주면 하더군요 .. ) 로우레벨 프로그래밍이 제가 생각하는 분야가 맞다면 ( 드라이버개발이나 하드웨어 설계&제어, 폼웨어개발 ,등등.. ) 기본기 위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회로에 대한 지식과 C만 잘해도 어느정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가끔 어셈으로 코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어떤 프로그램을 하느냐에 따라 공부할 내용도 많이 바뀝니다. ( 하드웨어쪽은 공부할려면 돈이좀 들어서 쩝 ㅜ.ㅜ ) 잡담이 길었내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떤 분야를 공부하고 싶은가에 따라 언어와 툴을 선택해서 시작하시는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십시오 ^ ^ 개발툴에 대해서는 별도로 글을 썼고.. 수학 실력에 대해서 써보면요.
예를 들어서, 압축 유틸을 만들려고 하는 경우라도, 새로운 알고리즘을 직접 개발하고 구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수학실력이 별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이미 공개나 상용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로 많이 공개되어 있고요. 기존 알고리즘들은 이미 최적화가 가능한 만큼은 다 되어있는 상태라서 직접 구현하는 것 자체가 별 의미가 없습니다. 알집의 alz 포맷이 새로운 것인 것처럼 흔히 알고 계시겠지만 기존 알고리즘을 약간 뒤틀어서 기존 압축 유틸로는 풀지 못하게 꽁수를 썼을 뿐입니다. 전혀 새로운 알고리즘이 아니죠. (만약 새로운 뛰어난 알고리즘을 개발했다면 알집이라는 툴을 발표하기 이전에 수학학회에 먼저 보고되었겠죠) 하지만 WinRAR의 경우에는 zip 압축/해제 속도가 빠른데, 같은 알고리즘도 이렇게 타 유틸보다 성능이 좋게 해서 경쟁하겠다고 결심한다면 당연히 수학 실력이 중요하겠죠. 그런데 아시다시피 이렇게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성능으로 승부하는 유틸이 WinRAR 뿐인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아주 느린 편이 아니라면 성능이 반드시 최고여야 가장 인기를 끄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양병규님이 만드신 빵집의 경우 파일포맷 호환성 면에서도 뛰어나지만, 재미있고 편리한 UI로 승부해서 인기를 끌고 있지요. 고등학교때부터 수학과 담쌓고 사칙연산만 하는 20대 중후반....
마치 제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댓글을 달아봅니다. ^^;;; 걱정마세요. 그래도 닥치면 다 하게 되어있습니다. 게임 만들자고 마음먹은 게 서른두살 되던 봄날이었습니다. 헌책방에서 구해온 수학정석을 책상위에 올려놓으며 잘해보자 다짐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하네요. (2차연립방정식에 대한 설명이 정석을 아무리 뒤져도 안나와 당황했었는데... 알고보니 중학교 과정이더군요. 어찌나 황당하던지... 흐흐흐...) 솔직히 수학이라고 하기도 창피하고 그저 산수 수준에서 삽질하고 있습니다만, 어차피 수학자가 될 능력도 생각도 없으므로 제가 필요한 만큼만 이해하고 가져다 쓰는 걸로 만족합니다. 맨땅에 헤딩하고 맨땅에 삽질하는 데 당해낼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50명 중 45등으로 졸업한 저도 하는 삽질인데요 뭐~~ ^^;;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개인적으로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는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수학 자체가 필요한 개발분야는 다소 제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미적분 ㅡ.ㅡa
게임만들 때 이외에는 필드에서 써본적은 거의 없습니다.
로우레벨을 어디에다 두고 이야기해야할 지 모르지만,
저는 기계제어부터 프로그래밍을 시작하게 되었지만서도,
수학을 사용할 기회는 거의 없었습니다.
(당시에는 어셈에 대한 요구는 많았습니다만)
자신이 추구하는 분야가 무엇인지 먼저 생각해보고
정말 그것에 수학이 필수적인지 고민해도 늦지않는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