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윈도우 환경이 win32에서 닷넷으로 그리고 웹환경에 더욱 더 친숙하게 변하고 있으니 그쪽 기반에 종사하는 분들은 같이 준비해 가면서 변해야 겠지요. 안그러면 말씀대로 낙오될 거니까요.
글쓴 분의 생각은 여러가지 다 할 수는 없으니깐 나름대로 판단해 봐서 닷넷기반으로 옮겨가는 것이 효율적이겠다 뭐 그런 뜻으로 보입니다. MS가 닷넷기반을 홍보하면서 좋은 소리 여러가지 해 놓은 것도 있고, 자사의 차기 제품들이 그쪽 기반용으로 준비되고 있으니 자연히 관심을 끌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성공의 여부는 MS도 정확히는 모를 것 같은데요. 롱혼이 나오면 기존의 API기반 코드보다는 닷넷기반에서 개발하는 것이 맞을 거고요, 리눅스 이야기도 나왔는데 모노 프로젝트가 어느새 벌써 베타2까지 와 있는 것을 보면 더 관심을 가지게 될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특히 닷넷기반은 특정 개발언어에 구애받지 않으니 그리고 윈도용 코드가 리눅스에서도 바로 동작할 수 있고, 특히 한국 실정은 MS툴의 사용이 밥먹고 사는데 훨씬 도움이 되는 것은 맞는 말로 들리는군요. 개인적을 꿈꾸어 왔던게 닷넷기반과 비슷해서 저도 자꾸 관심이 가지고 그렇네요. 지금은 저랑 상관없는 일이라서.. 먼 산 구경하듯 합니다. -.-;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문으로 생각하시지 마시고 도구로 생각하신다면..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별로 걱정하실 일이 아니라고 생각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