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를 쓰는 곳에서는 BC가 미운오리새끼입니다.
굳이 BC를 주장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둘다 C Win32 기반이기 때문에,
기본에 충실하다면 프로젝트를 무난히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별로 필요치 않은 MFC를 배운다는 생각이나 VC 클래스를 익혀야 한다는
것은 고통이 될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생각을 뒤집어 프로그램이란 회사가 고객을 위해 상품으로 만드는 것이지만,
1차적으로는 직원이 회사에 납품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회사가 VC를 원하면 일단 VC 위주로 작업을 해주는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VC의 강점은 BC에 비해 개발속도가 느리고 하드코딩과 얽히는 알고리즘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자료와 사용자로 인해 어려운 문제를 보다 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코딩은 느려도 막혀서 진도가 안나가는 부분이 BC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입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상대의 터프(?)한 코드를 그대로 받아서 작업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반드시 클래스로 만들어 서로 공유하는 방식이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야 서로 간에 코드가지고 뭐라할 필요없는 대신, 본질인 데이타와 메쏘드 개선에
신경쓰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무에 계시니 더 좋은 방법을 물론 아시겠지만 생각나서 한번 써봤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남병철.레조 님이 쓰신 글 :
:
: 해당 회사에서 다 VC 쓰면 그거 쓰는거고..
:
: BC 쓰면 그거 쓰는거겠죠..
:
: VC 쓰는데서 BC로 작업할때 좋은점이 있다고해도 이해못하는게 VC 유저들이고..
:
: BC 쓰는데서 VC로 작업할때 좋은점이 있다고해도 별로 이해가 안가는게 BC 유저들이겠죠..
:
: 요즘 VC코드를 인수인계 받으면서 작업하는데..
:
: 같은 지저분한 코드라도 빌더가 그나마 양반인듯..
: VC는 UI적 감보다 소스가 눈에 더 보이니 코드가 엉망이면.. _~_; 한숨만 나오네요..
: 오래쓰면 적응된다고 할지 모르나.. --; 별로 적응하고싶지않는 기분뿐인듯.. ㅎㅎ
:
: VC의 장점도 좀 보긴했습니다만...
: VC가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활개치고있는것을 보니.. 좀 아쉽긴하네요.
: (_~_ 그나저나 인수인계받은 이 지저분한 코드에 또 코드를 추가해야한다니.. !! 싫다~ 쩝!~)
|